윤수아 〈쓸모를 찾아서〉
대안공간 아트포럼리 기획 초대전
윤수아 <쓸모를 찾아서>
2018.06.15(Fri)-07.20(Fri) @대안공간 아트포럼리
오프닝 2018.06.15(Fri) PM 5:00
윤수아_보라와 연두_oil on canvas, 가변크기, 2017
여기에 있다, 아름답게
들어가며
도무지 갈피를 잡을 수 없는 형태를 지닌 것들이 있다. 이를테면 쉽사리 눈길이 오래 머무르지 않는 수풀 같은 것들이 그렇다. 자라온 이력을 살필 수 없이 구불구불하고, 종류를 알 수 없는 다른 유약한 것들과 함께 뒤엉켜 있다. 어떤 변모를 앞둔 채 시들어 있는 것 같다가도, 영원히 메마른 모습으로 있다가 바스락 부서져버릴 것 같다. 이 출처 없는 수풀은 어느 길가 언덕에 있는 것이든, 누군가의 화단이든, 도심의 숲 길이든 모두 어느 크기 이상의 굵기를 가지지 못한다. 모든 잎과 줄기가 각각 다르게 생겼지만 그렇다고 해서 ‘개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는 노릇도 아니다. 그러나 이 모든 불명확한 장면이 유의미하게 다가오는 경우가 있다.
<보라와 연두> : 내재된 은유
작가는 어느 겨울 파주에 갔다가 버려진 배추밭을 보았다고 했다. 그 해의 배춧값은 수확하느니 내버려 두는게 나을 정도였다. 애물단지가 된 배추 위에 눈이 드문드문 쌓여 있었다. 그 장면이 불현듯 아름다웠다. 그려야겠다고 생각했다. 산책길에 마주쳤던 뿌리가 뽑혀 기울어진 나무와 그 나무를 감싼 덤불도 ‘아름답다’고 일컬으며 그려냈다. 이름을 알 수 없는 누운 풀들, 갈색 낯빛으로 고개를 숙인 수련도 아름다워서 그릴 수밖에 없었다. 사실 윤수아가 그동안 ‘그려야겠다’고 마음먹은 것들은 적지 않았다. 처음에는 스스로에 대해 천착하는 것들을 그렸다. 그러다 자꾸만 과거의 시간으로 수렴되는 자신에게 거리를 두고 싶어, 일면식도 없지만 같은 해를 공유했던 익명의 사람들이나 그해의 사회적 사건들을 그리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처럼 아름다워서 그렸던 것은 아니었다. 아름다움이란 전형적인 긍정과 통용되는 밝음의 형태를 띠는 무언가가 아니다. 아름다움의 감각은 때때로 유한하고 유약한 것으로부터 비롯된다.
작가는 오래전부터 아름다움에 꽤나 관심이 많은 것 같았다. 한국화를 전공했지만 사용하지 않는다. 발색 때문이다. 한국화 재료로 원하는 정도의 발색을 내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주 5일 상근하는 일과 병행해서 할 수 있는 작업이 아니었다. 아크릴도 성에 차지 않았다. 유화라도 열댓 번은 넘게 칠해야 원하는 색이 나왔다. 어떤 것들은 보라색으로 죽어가고, 그 사이에서도 연두색으로 생을 지속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이 있는데, 이 색을 그려내야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따르면, “은유란 어떤 사물에다 다른 사물에 속하는 이름을 전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윤수아의 은유는 죽은 풍경을 전용해 모종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삶의 진실 같은 것에 근접해있는 아름다움에 대한 발색에 가깝다. 그러니까 죽음이라는 보라색 현실에서 존재라는 미약한 색을 찾아내는 과정 그 자체가 윤수아의 은유다. 그러니까 윤수아에게 있어 은유는 표현된 것이 아니라 내재된 것이다. 그의 눈에 비친 광경의 파편과, 그가 천착하는 발색력을 가진 색을 보는 것 그 자체로 삶을 인식하는 새로운 화각이 된다.
<시간에 기대어> : 잦은 죽음
한편 윤수아에게 있어 시간은 선형적으로 흐르지 않는다. 우리는 쉽게 모두가 죽음이라는 일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어째서인지 작가의 현재에는 그런 식의 선형성이 어울리지 않는다. 오히려 그의 현재는 이따금 일시정지를 일삼는다. 정지된 시간은 방향의 갈피를 잡지 못하다가 자꾸만 ‘그때’로 기운다. 그래서 윤수아의 지금은 때때로 ‘그때’이곤 한다. ‘그때’는 앞서 언급한 내재된 은유의 과정에 따라 작가의 프레임 속에 기거한다. 윤수아의 작품 속 얇은 고목과, 그 고목을 가로지르는 쓰러진 나무, 덩굴이 감겨도 나뭇가지가 되지는 못하는 쇠창살, 형태는 그대로인 듯 보이지만 탄성 하나 없이 바람이 빠져버렸을 것 같은 버려진 노란 공은 모두 잦은 죽음들의 파편이었다. 누운 풀에서, 버려진 배추에서, 그물에 뒤엉킨 덤불에서 ‘그때’의 장면과 직접적으로 닮은 것은 찾아볼 수 없지만 그때가 맞는 것 같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렇게 포착되어 캔버스에 갇힌 순간일수록 오히려 그 시간성이 누락된다. 때문에 종종 공간마저 잃는다. 내가 있는 이 장소가 어디인지 알 수 없다. 심지어는 생각을 하고 있는 스스로가 있는 것인지 조차 의심스럽다. 생각을 멈춰야 한다는 생각이 가득해진다.
윤수아의 작품 속에서 정물이 된 마른 수풀과 뿌리 뽑힌 나무, 서리 맞은 채 내버려진 배추는 일종의 ‘메멘토 모리’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16-17세기의 ‘바니타스’와 같은 계몽적이거나 인문적 성찰과는 거리가 멀다. 그렇다고 해서 시간의 덧없음을 이야기하는 감상적인 죽음의 겉모습도 아니다. 윤수아는 그림 속 정물이 ‘죽어 있었지만’이라며 부러 과거형으로 말한 적이 있다. 과거에 작가가 발견했을 때와 달리 캔버스 위에서 그 죽음을 유예시켰다는 것이다. 죽음의 유예라고 해서 그것이 ‘살아있음’과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생각해보면 잦은 죽음으로 가득한 것이 바로 삶이 아닌가. 다시 말해 잦은 죽음을 인지하는 것은 스스로의 존재가 지금 여기에 있다는 것을 대면하는 일이다.
나가며
이번 그의 첫 개인전에서 볼 수 있는 그림 속 장소는 작가가 산책길에 마주한 그의 넓지 않은 생활 반경 안에서 포착된 장면들을 콜라주 한 것이다. 모두 다 있는 장소들이지만 작가의 프레임 속에 재배치되면서 없는 장소가 되어버렸다. 오직 그림 안에만 있는 공간과 시간, 윤수아가 스스로의 존재를 그림 안에서 찾듯이 말이다.
■박수지
윤수아_너의 머리카락도 아름답다#1_oil on canvas, 116.8×91, 2017
윤수아_너의 머리카락도 아름답다#2_acrylic on canvas, 90.9×72.7, 2017
윤수아_너의 머리카락도 아름답다#3_acrylic on canvas, 162.2×130.3, 2017
오랜 시간 짓누르는 감정의 근원을 찾았다. 풀리지 않는 수학 문제를 붙잡고 끙끙거리는 아이처럼 감정의 근원을 찾아 끙끙거렸다. 무언가 지속적으로 채워야 하는 시대 속에서 서성이는 자신을 발견했다. 은은한 빛 속에 감추어진 마치 자신이 꽃인 양 착각하고 있는 버려진 배추에서 스스로를 발견했다. 타산에 맞지 않아 버려진 배추들이 아름다워 보였다.
다수의 공모전에서 떨어졌고 일할 능력을 상실했다. 관계에 실패했고 건강을 잃었다. 전시 되지 않는 그림은 쓸모가 없을까? 경제적 이윤을 창출하지 못하는 사람의 쓸모는 무엇일까?
누군가 너는 밝고 유쾌한데 왜 이런 그림을 그리는지 물었다. 나는 김춘수 시인의 ‘꽃’ 이란 시의 구절을 인용하여 이야기 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와 같이 내가 그리는 대상에 의미와 가치를 주고 존재를 증명하고 싶다고 했다. 그는 그 대상을 그린다고 해서 존재가 증명이 되는지 다시 물었다. 나는 아무런 말도 할 수 없었다. 나의 그림 안에 있는 대상들은 스스로 존재하는지도 모른다. 다만 상실한 한 인간이 그 대상을 그리는 행위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스스로의 쓸모를 찾는 과정 일 것이다.
전시 된 그림들을 상상해 본다. 소수의 사람들이 관람 할 것이다. 쓸모를 찾았을까?
우리 주변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자연의 흐름을 보며 작가 자신도 자연의 흐름 속에 포함 되어 있지만, 포함 되고 싶지 않은 욕망이 내포 되어 있다. 그 시간 그 순간을 기억하고 그림으로 남기면서 사라지는 것을 유예하고 싶은 바람이다.
같은 대상의 모습을 여러 형태로 그리거나, 같은 공간에 있는 대상을 선택적으로 가감하여 대상을 정물로 인식 하였다.
산책길에 마주한 시든 식물, 담벼락에 늘 피고 지는 장미, 길고양이, 뿌리 뽑힌 나무 등의 대상은 상실감과 쓸쓸함이 묻어나지만 그 이전의 ‘생기있음’을 상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윤수아
윤수아_시간에 기대어_acrylic, oil on canvas, 112.1×145.5, 2017
윤수아_꽃보다 배추_acrylic on canvas, 90.9×72.7, 2017
윤수아_untitled_acrylic on canvas, 162.2×130.3, 2017
윤수아(b. 1981)
2014 동대학원 미술학과 수료
2012 상명대학교 조형예술학과 졸업
<전시 이력>
2019 DRAWING ON PAPER, 예술공간 서로, 서울
2019 Re-Play, 오픈스페이스 배, 부산
2019 secret cod, 키미아트, 서울
2018 시간을 상실한 시간, 대안공간아트포럼리, 부천
2015 Diplopia, 오픈스페이스 배, 부산
2013 고도를 기다리며, 스페이스 제로, 서울
<프로그램>
2017 대안공간아트포럼리 청년작가 네트워크, 대안공간아트포럼리, 부천
2015 Artist Incubating Program, 오픈스페이스 배, 부산